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정보

2024 케이패스의 모든 것 : 신청방법? 적립금? 버튼? 기후교통카드?

케이패스란 알뜰교통카드 서비스를 종료하고 24년 5월부터 시행되는 대중교통 적립 지원 서비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케이패스 신청방법, 적립률, 이용방법, 알뜰교통카드와 기후교통카드 간의 비교 등 2024 케이패스의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케이패스란?

지난 알뜰교통카드 서비스 종료 이후 24년 5월부터 새롭게 실시되는 교통 복지 정책입니다. 케이패스에 참여하는 전국 지자체 만 19세 이상이면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지원대상 : 케이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살고 있는 만 19세 주민

적립수단 : 전국 모든 대중교통 (시외버스, KTX, SRT 등 제외)

 

 적립정책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최대 60회까지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지급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지급)

 

 적립률

: 일반 20% 적립

: 청년(만19~34세) 30% 적립

: 저소득 53% 적립

 

2. 알뜰교통카드와 케이패스의 차이점

알뜰교통카드는 이동 거리 기반 적립이었다면 케이패스는 사용 횟수 기반 적립입니다. 

 

 

 

그러므로 케이패스는 알뜰교통카드와 달리 출발, 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적립이 됩니다.

 

 

3. 케이패스 신청방법

●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알뜰교통카드 혹은 케이패스 홈페이지나 어플에서 케이패스로 바로 계정전환이 가능하며 따로 설정할 것 없이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

 

 

 

알뜰교통카드의 경우에는 출발 버튼과 도착 버튼을 눌렀어야 했지만 케이패스의 경우 별도로 버튼 누르는 것 없이 사용하면 자동으로 산정 후 적립이 완료 됩니다

 

  케이패스 신규 가입

신규 가입자 경우에는 별도로 케이패스 전용 카드는 발급해야 합니다.

해당 카드 리스트는 아래 링크에 달아두도록 하겠습니다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발급 후 케이패스에 회원가입 하면 정상적으로 등록이 완료되고 즉시 사용 가능합니다

 

 

 

4. 케이패스? 기후동행카드? 

케이패스와 기후동행카드는 별도의 지원사업으로 기후동행카드를 쓰면서 그것으로 케이패스 적립을 받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케이패스 적립은 케이패스 전용 카드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사용자 본인의 일상에 적립이 더 이득인지 미리 저렴한 금액을 충전해서 사용하는 것이 이득인지 잘 계산하여 자신에게 맞는 서비스를 선택하길 바랍니다.

 

 


2024년, 케이패스는 국가에서 지원하는 교통비 지원 사업으로 여전히 우리의 일상을 편리하게 만들어줍니다. 여러분은 케이패스의 필요한 정보를 얻었을 것입니다. 신청 방법과 적립금 혜택을 숙지했으며, 기후교통카드와의 차이도 이해했을 것입니다. 이제는 더 스마트한 교통 이용을 위해 준비가 되었습니다. 케이패스와 함께하는 편리한 여정을 시작해 보세요. 정보를 공유해 드리며,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 생활을 기원합니다.